바티의 물음표 투척
초콜릿을 먹고 난 뒤 양치질을 하면 왜 거품이 생기지 않을까?
바티'스타
2010. 4. 23. 19:03
※흔히 초콜릿 케이크나 초콜릿 바와 같이 초콜릿이 함유된 제품을 먹고
양치질을 하면 거품이 잘 생기지 않아 치약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양치질을 하면 거품이 잘 생기지 않아 치약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거품이 잘 생기지 않는 이유는 초콜릿에 함유된 "카카오 버터"라는 기름 성분에 있습니다.
치약에는 "계면 활성제"라고 하는 성냥개비 형태의 물질이 들어 있습니다.(저도 학교에 다닐 때 배운 기억이 납니다;)
이러한 성냥개비 형태의 계면 활성제의 분자는 친유기 성질의 머리와 친수기 성질의 꼬리로 이뤄져
있습니다.(쉽게 말해 성냥개비의 머리부분은 기름과 친하며 몸통부분은 물과 친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는 물과 기름을 잘 섞어줍니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가 물과 섞이면 물의 표면장력이 약해져 거품이 쉽게 일어납니다, 또한 물 막 주변에 계면활성제의 피막이 형성돼 물 분자의 소실을 막아 거품이 오랫동안 지속하기도 하죠.
이렇게 "카카오 버터"라는 초콜릿에 있는 기름성분이 치약의 계면활성제가
거품을 만드는 작용을 방해하므로 거품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있습니다.(쉽게 말해 성냥개비의 머리부분은 기름과 친하며 몸통부분은 물과 친하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는 물과 기름을 잘 섞어줍니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가 물과 섞이면 물의 표면장력이 약해져 거품이 쉽게 일어납니다, 또한 물 막 주변에 계면활성제의 피막이 형성돼 물 분자의 소실을 막아 거품이 오랫동안 지속하기도 하죠.
하지만 여기서 "카카오 버터"라는 기름 성분이 등장하게 됩니다.
초콜릿을 먹고서 입안에 남아있던 "카카오 버터" 즉, 기름 성분이 계면 활성제의 친유기성 머리에 붙어(위에서도 말했듯이 친유기성 물질은 기름을 좋아합니다♡)기름과 함께 물에서 분리돼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렇게 "카카오 버터"라는 초콜릿에 있는 기름성분이 치약의 계면활성제가
거품을 만드는 작용을 방해하므로 거품이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